IT/Blockchain2022. 9. 21. 18:36

안녕하세요. IT반장입니다. 오랜만에 글을 써보네요.

블록체인 관련 분석 자료를 정리하여 올려봅니다.  

목차

0. 용어
1. 개요

2. Maker Protocol
3. DAI Stablecoin
4. Maker Vault
5. 핵심 외부 참여자
6. DAI 예치 보상(DSR)
7. 거버넌스
8. 가격 안정화 메커니즘
9. Maker 프로토콜의 미래
10. 결론
11. 평가


0. 용어

- https://makerdao.world/en/learn/Glossary/

 

1. 개요

- MakerDAO : 이더리움 기반 오픈소스 프로젝트, 탈중앙화된 자율 조직(DAO)

  • MKR: MakerDAO에서 사용하는 거너넌스 토큰
  • 투표, 여론조사, Maker Protocol/DAI 금융 리스크 관리

- Maker 재단

  • Maker 커뮤니티의 일부, Maker Protocol 구축
  • 완전 탈중앙화를 완성하기 위해 커뮤니티와 협업

- DAI 재단

  • Maker Protocol이 기술적으로 탈중앙화 할 수 없는 부분을 보호하는데 목적이 있음(덴마크에 위치)
  • Maker 커뮤니티의 상표나 코드 저작권 등 무형 자산 관리
  • DAI: 탈중앙화되고 중립적이며 미국 달러에 연동된 자산 담보기반 암호화폐

 

2. Maker Protocol

- 최초의 탈중앙화 금융(DeFi) 애플리케이션(DApp), 현재 TVL이 제일 높음(참고[3])

- DAI(스테이블 코인), Vault, 오라클, 투표로 구성됨

- 다중담보Dai(MCD) 시스템: 승인된 자산을 담보로 레버리지를 통해 Dai를 생성

 

3. Dai Stablecoin 

- 탈중앙화되고 중립적이며 미국 달러에 연동된 자산 담보기반 암호화폐

- 사용자는 암호화폐지갑으로 MakerValut에 자산을 담보하고, DAI를 생성 사용하기 용이

- DSR(Dai Savings Rate, Dai 예치 보상): Dai를 소유한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보상

- 화폐의 4가지 기능 보유

  • 가치 보존: 미국 달러 기반 스테이블 코인으로 가치가 보존됨
  • 교환 매체: 암호화폐지갑으로 쉽게 교환 가능
  • 회계 단위: 1 DAI = 1 USD 목표
  • 후불 표준: Maker 프로토콜에서 수수료를 갚고 볼트 계약을 해지

- 담보자산: MKR 소유자가 투표를 통해 담보 자산 결정하고 이를 통해 자산 안정화

 

4. Maker Vault

- 모든 승인받은 담보 자산은 Maker Valult 라고 하는 Smart Contract를 통해 보관되고, 레버리지 가능하고 Dai 생성 가능

- 사용자는 커뮤니티가 만든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Valut를 생성할 수 있음(Oasis borrow 등 참고[4])

- Dai를 생성을 위한 안정화 수수료가 있음(부채 상환, 레버리지된 담보 인출 등)

- Valut는 비수탁 방식: 사용자는 담보에 대해 완전하고 독립적인 통제권을 가짐

  •  단, 담보 최저 수준에 도달하면 자동 청산됨

- Valut 동작

  1. 볼트 및 담보 생성
  2. 담보화된 볼트에서 DAI 생성
  3. 부채 및 안정화 수수료 상환
  4. 담보 인출
  • 각 담보 자산은 개별 볼트가 필요

- 위험한 Maker Valut 청산

  • 담보 보장을 위해 위험한 Valut는 Maker Protocol 경매를 통해 자동 청산됨
  • Valut 별 청산 비율 존재
  • Valut 별 부채 비율은 MKR 투표로 결정 

- Maker Protocol Auction

  • 담보 가격정보를 알 수 없는 경우에도 볼트 청산 가능
  • 청산 시점이 오면 해당 볼트 담보를 가져와서 내부 경매 시장 메커니즘을 통해 매각
  • 청산 페널티와 채무를 충분히 감당할 정도로 입찰이 되면 역담보 경매 실시
    • 역담보 경매는 볼트 소유자가 가능한 많은 잔액을 만회할 수 있는 절차 제공, 남은 담보는 원래 볼트 소유자에게 반환
    • 만약 경매에서 충분한 Dai를 모으지 못한다면, 부족분은 Maker Buffer에 있는 프로토콜 부채로 커버함
    • 만약 Maker Buffer에 충분한 Dai가 없으면, MKR이 발행되어 매각 
    • 담보 경매에서 나온 수익금은 Maker Buffer에 쌓임. 버퍼 한도가 초과되면 잉여금 경매를 통해 MKR 소각하여 안정화 

 

5. 핵심 외부 참여자

- 키퍼(Keepers)

  • DAI가 목표가(1달러)를 유지하도록 돕는 시장 참여자
  • 볼트가 청산될 때 경매에 참여(잉여금 경매, 부채 경매, 담보 경매)

- 가격 오라클(Price Oracles)

  • 청산 절차 개시 시기를 판단하기 위해 담보 자산의 시장 가격을 실시간으로 제공
  • 탈중앙화된 오라클 인프라스트럭처에서 담보 가격 획득(참고[5])
  • 가격 정보의 신뢰성을 위해 오라클 보안 모듈(OSM, 참고[6]) 적용
    • 오라클이 침투될 경우 가격 전달을 한 시간 정도 지연시키고, 긴급 오라클/거버넌스 투표를 통해 동결할 수 있도록 함

- 긴급 오라클(Emergency Oracles)

  • MKR 투표에 의해 긴급 오라클 결정
  • 비상정지: 공격에 대해 방어, Maker 프로토콜 업그레이드
  • 거버넌스를 통해 완전 탈중앙화

- DAO Teams

  • 독립적인 시장 참여자
  • 거버넌스 커뮤니케이션 인프라스트럭처와 절차를 도와주는 조력자
  • 새로운 담보의 도입을 추진, 기존 담보 규제하는 데 필요한 위험 연구하여 개선 초안을 제안

 

6. 다이 예치 보상(The Dai Savings Rate, DSR)

- DSR 컨트랙트에 예치하여 보상

- 최소 금액 없음. 자유롭게 인출 가능

- MKR 투표로 DSR 보상율 조정(매주)

  • 향후 Instant Access Module(대규모 MKR 보유자 그룹을 대신하여 DSR 조정이 쉽도록 함, 절차를 간소화) 도입

 

7. 거버넌스

- MKR 토큰으로 투표

  • 즉시 효력이 발생하지 않고, 24시간 동안 지연(악의적인 제안 방어)
  • 투표 제안, 집행 투표
  • MKR 소유자 책임
    • 신규 담보 추가
    • 위험 매개변수 관리
    • DAI 예치 보상 비율 수정
    • 오라클 선정
    • 긴급 오라클 선정
    • 비상정지 개시
    • 시스템 업그레이드
    • Maker Buffer 자금 관리

- 통제하는 위험 매개변수

  • 부채 한도(Debt Ceiling)
  • 안정화 수수료(Stability Fee)
  • 청산 비율(Liquidation Ratio)
  • 청산 페널티(Liquidation Penalty)
  • 담보 경매 지속 기간(Collateral Auction Duration)
  • 경매 입찰 지속 기간(Acution Bit Duration)
  • 경매 최소 단위(Auction Step Size)

- 거버넌스의 위험과 책임의 완화

  • 악의적인 참여자들에 의한 공격 위험 대응
    • 예) 스마트 컨트랙트 취약점 공격
    • Maker 프로토콜 보안을 최우선 순위로 추진
    • 프로토콜 보안성은 공식적으로 검증함(수학적 검증, 코드 검증)
    • 전문 보안 조직을 통한 감사를 수행함
    • 버그 바운티를 운영함
  • 블랙 스완(Black Swan) 사태
    • DAI를 뒷받침하는 담보 자산에 대한 공격
    • 담보 자산의 급격하고 예기치 못한 가격 하락
    • 매우 조직화된 오라클 공격
    • 악의적인 Maker 거버넌스 제안 등
    • -> 거버넌스를 통한 보안: 신속 대처, 리스크 매개변수 등
    • -> Maker 프로토콜을 통한 보안: 청산 비율, 부채 한도, 거버넌스 보안 모듈, 오라클 보안 모듈, 비상 정지 등
  • 예상치 못한 가격 오류와 비이성적인 시장
    • 오라클 가격 피드 오류
    • DAI 가격 변동에 상당 기간 영향을 끼치는 비이성적인 시장 움직임
    • -> 금리 조정이나 MKR 희석으로도 충분한 유동성과 안정성 공급하지 못할 수 있음
    • -> 자산 Pool을 충분히 큰 규모로 키워 시장 관리인 역할을 할수 있도록 보상, 최후의 수단은 비상정지
  • 복잡한 프로토콜로 인한 사용자 이탈 가능성 방지
    • 사용성 좋게하고 많은 문서/자료 공개
  • Maker 재단 해체
    • Maker DAO가 스스로 관리할 수 있게 되면 재단 해체
  • 시험적인 기술에 관한 사안
    • Maker 프로토콜은 여전히 입증되지 않았고, 취약성 또는 버그 발생을 포함하고 있고 실패할 수 있음

 

8. 가격 안정화 메커니즘

- DAI 목표 가격: 1 DAI = 1 달러

- 비상정지

  • 인프라스트럭처 공격 대응 시 개시
  • Maker 프로토콜 시스템 업그레이드 시 개시
  • 비상정지 3단계 (참고[7])
    1. Maker 프로토콜 비상정지, 볼트 생성/조작 금지, 가격 피드 동결
      • 채무 직접 담보가 아닌 자산은 즉시 인출 가능
    2. 비상정지 후 경매 절차
      • 담보 경매가 시작되고 정해진 기간 내에 완료되어야 함
    3. DAI 소유자는 남아있는 담보 청구
      • 남아있는 담보자산을 DAI 만큼 나눠서 청구 가능함
      • Vault 소유자 우선하고 이후 DAI 소유자 청구 가능함
      • 가치 하락 위험 있음(1달러 목표가 하락 등)

 

9. Maker 프로토콜의 미래

- 의미있는 마켓

  • 영업자본, 헤징 및 담보화된 레버리지
  • 상점의 대금 수령, 국제 거래, 송금
  • 자선단체와 NGO
  • 게임에서의 통화
  • 예측 시장

- 자산 확대

- 진화하는 오라클

 

10. 결론

- Maker 프로토콜을 통해 탈중앙화된 스테이블 코인인 DAI를 생성할 수 있음

- 투명성 확보를 위해 감사를 받고 누구나 참여하고 감독할 수 있음

- 수 백개의 파트너쉽과 암호화폐 개발자 커뮤니티와 협력하여 경제적 역량 강화를 위해 노력

 

11. 평가

- 다수의 담보를 예치하고, 가장 많은 TVL을 기록하고 있음

- 기술적으로 한계가 있음(거버넌스 위험 등)

- 정책적으로도 Stablecoin(특히 달러 페깅)의 탈중앙화는 AML/CFT 정책에 위배됨

 


참고 목록

[1] 홈페이지: https://makerdao.com/ko/

[2] 백서: https://makerdao.com/ko/whitepaper/

[3] DeFi 통계: https://defillama.com/

[4] Maker Ecosystem: https://makerdao.com/en/ecosystem/ 

[5] Price Oracles: https://blog.makerdao.com/introducing-oracles-v2-and-defi-feeds/

[6] Oracle Security Module: https://docs.makerdao.com/smart-contract-modules/oracle-module/oracle-security-module-osm-detailed-documentation

[7] Emergency Shutdown: https://makerdao.world/en/learn/governance/emergency-shutdown/

[8] Maker DAO Technical Docs: https://docs.makerdao.com/

[9] Maker DAO TVL: https://defillama.com/protocol/makerdao

 

DefiLlama

DefiLlama is a DeFi TVL aggregator. It is committed to providing accurate data without ads or sponsored content, as well as transparency.

defillama.com


문서 이력

- v1.0 (20220921) :  최초 등록


도움이 되셨다면 

눌러 주세요. ^^

반응형
Posted by ITBJ
Darts2019. 9. 22. 22:28

갤럭시 경우에
그란보드앱 -> 우측 슬라이딩 -> 하단 고급게임 기능 -> 자동 화면 잠금 -> 해제
반응형
Posted by ITBJ
카테고리 없음2019. 5. 22. 15:20
반응형
Posted by ITBJ
카테고리 없음2019. 5. 15. 12:05

Spring list configuration 등록

# application.yml

test:
  module:
    host-list:
      - "100.10.10.100:3000"
      - "100.10.10.101:3001"


# Override parameters

test.module.host.list = "100.10.10.100:3000", "100.10.10.101:3001"

 

참고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28158732/spring-boot-how-to-override-properties-with-dash-on-linux-env-profile

https://github.com/spring-projects/spring-boot/wiki/Spring-Boot-Configuration-Binding

반응형
Posted by ITBJ
Darts2018. 8. 18. 00:14

집에 다트판 설치하기 (Granboard Dash)


안녕하세요.

최근에 회사에 다트 기계가 생겨서 다트에 입문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기회에 제대로 즐겨보고 싶어서 집에 다트판을 설치하였습니다.

Granboard Dash 제품입니다.

가격 99,000 원

온라인 게임이 되면서도, 크기는 정식 규격(15.5 inch)이고 저렴합니다.

박스, 다트판, 브라켓(+8,800원), 추가 구매한 다트핀(주황, 힌색 각각 +1만원), 기본 포함 다트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참고) 추가로 구매한 다트핀은 무게가 있고, 다트판에서 잘 안빠지고 소음이 큽니다. 집에서는 기본으로 포함된 다트핀이면 충분하겠습니다.


설치를 위해서 우선 동봉된 설치 종이를 벽(설치 장소)에 붙입니다. 상단 선을 2M 기준으로 맞추면 됩니다. 



브라켓이 위와 같이 되어 있는데, 좌측 브라켓을 벽에 콘크리트못으로 고정합니다. (4군데 고정)

우측에 있는 브라켓은 다트판 뒤에 나사로 고정시킵니다.


벽에 다트판을 고정할때는 망치와 3Cm 정도의 콘크리트 못이 필요합니다. 너무 길면 벽에 잘 안박힙니다.

나사못과 가드가 동봉되어 있으니, 전동 드릴 있으신분들은 나사못으로 하시는게 좋겠습니다.


위와 같이 벽에 브라켓을 고정시킵니다. (조카가 낙서한 벽도 덤으로 가립니다.)

콘크리트못으로 박아서, 뺄때는 힘들겠네요. ㅠㅠ

저 위에 다트판을 끼우면 됩니다.


다트판이 브라켓만 가지고는 움직일수 있으므로 동봉된 뽁뽁이를 4등분하고, 돌돌 말아서 상하단에 테이프로 고정합니다. 그리고 나머지 두개는 다트판을 벽 브라켓에 꽂은 다음, 다트판 옆으로 넣어서 다트판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합니다.


짜짠~

완성된 모습입니다.

아이패드와 블루투스4.0 으로 연동됩니다. (안드로이드 폰도 됩니다.)

회사에 있는 고릴라 다트 기계 못지 않네요. 

캬~ 


참고) 

- 다트판에 빨강 버튼 누르면 턴이 바뀝니다.  아웃센서가 없지만 빨강 버튼으로 넘어가면 됩니다.

- 소음은 40db 에서 다트핀을 던지면 76db 까지 올라갑니다.

  * 수험생이 있거나 수면중만 아니면 괜찮을듯 합니다.




반응형
Posted by ITBJ
IT/Office Tools2018. 8. 14. 17:23

구글 스프레드시트 작성 팁


1. 화면에서 격자선 안보이게 하기

- 보기 -> 격자선 해제
* 보기 메뉴가 안보이는 경우: 우상단 화살표 클릭

... 내용 계속 업데이트


반응형

'IT > Office Tool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셀 사용팁  (0) 2018.03.16
Posted by ITBJ
IT/MAC OSX2018. 8. 9. 14:43

BenQ USBC 타입 랜카드 설정법


ㅇ 대상
    - BenQ USBC 유선 랜카드(realtek 8153)
    - MacOS: Hardware->USB->USBC 에서 realtek 8153 확인 

ㅇ 오류 현상
    - 대용량 파일(10메가 정도)을 업로드 시, 인터넷이 안되는 현상
    - 속도 업로드 테스트 시 랜카드 인터페이스가 초기화 되는 현상

ㅇ 해결 방법
    1. 랜카드 드라이버 다운로드 & 설치
*   http://www.realtek.com.tw/Downloads/downloadsView.aspx?Langid=1&PNid=13&PFid=56&Level=5&Conn=4&DownTypeID=3&GetDown=false
    2. 재부팅

ㅇ 확인 방법
    - speedtest-cli 설치 및 테스트
* https://github.com/sivel/speedtest-cli






반응형

'IT > MAC OS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맥 OSX 사용 팁  (0) 2018.03.07
맥 OSX 필수 프로그램  (0) 2018.03.07
맥 OSX 한글 전환 단축키 변경하기(Shift+Space)  (0) 2018.03.07
Posted by ITBJ
IT/Ubuntu2018. 8. 9. 11:10


자주쓰는 Ubuntu 16.04 명령어


1. deb 파일 설치, 제거

-  설치

sudo dpkg -i /home/jspark/app.deb

- 상태 확인

sudo dpkg -s app.deb

- 삭제

sudo dpkg -r app

sudo dpkg -P app (설정 파일까지 모두 삭제)


2. 리눅스 종류 및 버전 확인

> grep . /etc/*-release

or

> cat /etc/*-release | uniq

or

> grep . /etc/issue*

or

> rpm -qa *-release


*  계속 추가 



반응형

'IT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리눅스에서 티스토리 사진 올리기  (0) 2017.05.31
Posted by ITBJ